경기헤드뉴스 성미연 기자 | 경기도의회 고준호 의원(국민의힘, 파주1)은 8월 6일, 경기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권인욱 회장을 비롯한 관계자들과 경기도 복지사업과 한경수 과장 등 실무진이 참석한 가운데, 공공-민간 복지 협력체계 강화 및 기부문화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공동모금회 인력 및 조직 강화 필요성 ▲공공과 민간 간 긴밀한 협력 체계 구축 ▲중앙회 배분을 위한 시·군의 협력 필요성 ▲서울시와 경기도 간 재정지원 비교를 통한 제도 개선 방향 등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경기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권인욱 회장은 “서울시는 매년 약 8억 원의 예산지원을 받고 있지만, 경기도는 10년 넘게 1억 원의 수준에서 정체돼 있다”며, “경기도는 광역적 특성상 남부와 북부를 아우르는 체계적인 조직과 인력의 보강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각 시·도마다 정책 환경, 행정 구조, 재정 여건은 다르다는 점은 이해하고 있지만 공공의 지원과 협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고준호 의원은 이에 깊이 공감하며 “공공 재정만으로는 복지 사각지대를 모두 채울 수 없다. 민간과의 연대와 협력을 통해 부족한 복지망을 촘촘히 메우는 것이 시대의 요청”이라며 “공동모금회는 경기도민의 삶에 따뜻한 연결을 만들어주는 중요한 파트너이며, 인력 충원이 곧 모금액 증가로 이어진다는 실증적 데이터도 존재한다. 이는 보조금 지출이 아닌 도민 복지를 위한 ‘생산적 투자’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고준호 의원은 “경기도는 대한민국의 축소판이라 할 만큼 다양한 인구와 시·군을 품고 있다. 그만큼 복지 수요는 복잡하고, 해법은 다층적이어야 한다”라며 “오늘 이 자리가 민과 관의 신뢰가 싹트는 첫걸음이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간담회에서는 특히 경기도 전체의 모금 역량이 곧 중앙회로부터의 지원 규모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 그리고 시·군과의 협력체계를 적극적으로 유도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에 참석자들은 시·군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정책적 장치와 예산적 뒷받침 마련, 그리고 기부문화에 대한 도민 인식 제고 전략의 필요성에 공감했다.
고준호 의원은 “현재 경기도는 2013년 이후 12년 만에 민생회복 쿠폰 지급, 세입감소 등으로 6천억 원대 재정 부족 위기를 겪고 있지만, 이런 때일수록 민간의 따뜻한 손길과 행정의 체계적인 연결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공동모금회와 함께 경기도형 민관복지 협력 모델을 만들기 위해 의회 차원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경기도 복지의 미래를 고민하는 자리이자, 공공의 한계를 민간의 온기로 보완하는 연대의 출발점이 됐다는 점에서 깊은 의미를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