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4.1℃
  • 맑음강릉 1.1℃
  • 맑음서울 -4.5℃
  • 맑음대전 -1.3℃
  • 맑음대구 0.8℃
  • 맑음울산 2.1℃
  • 맑음광주 0.2℃
  • 맑음부산 3.9℃
  • 구름많음고창 -0.6℃
  • 흐림제주 3.5℃
  • 맑음강화 -4.5℃
  • 맑음보은 -1.7℃
  • 맑음금산 -1.9℃
  • 구름조금강진군 1.6℃
  • 맑음경주시 1.2℃
  • 맑음거제 3.8℃
기상청 제공

한자talk talk

해현경장(解弦更張)

이야기로 재밌게 풀어보는 고사성어와 유래

경기헤드뉴스 성미연 기자 |

▲ 거문고의 줄을 바꾸어 매다.

 

▲ 解(풀 해) 弦(시위 현) 更(고칠 경) 張(베풀 장)

‘거문고의 줄을 바꾸어 매다’라는 뜻으로, 느슨해진 것을 긴장하도록 다시 고치거나 사회적, 정치적으로 제도 개혁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중국 한(漢)나라 때 동중서(董仲舒)가 무제(武帝)에게 올린 현량대책(賢良對策)에서 유래되었다.

개현경장(改弦更張), 개현역장(改弦易張), 해현역철(解弦易轍), 개현역철(改弦易轍), 개현역조(改弦易調) 라고도 하며, 해현경장과 같은 뜻으로 쓰인다.

 

동중서는 이름난 유학자로 어려서부터 춘추(春秋)를 공부하였고, 경제(景帝)때 박사(博士)가 되었다. 경제를 이어 즉위한 무제는 국사를 운영하면서 수시로 동중서에게 자문을 구하였다. 무제가 널리 인재를 등용하려 하자 동중서는 <원광원년거현량대책-元光元年擧賢良對策> 이라는 글을 올렸다. 그 가운데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지금 한나라는 진나라의 뒤를 계승하여 썩은 나무와 똥이 뒤덮인 담장과 같아서 잘 다스리려고 해도 어찌 할 도리가 없는 지경입니다.(중략)이를 비유하자면 거문고를 연주할 때 소리가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심해지면 반드시 줄을 풀어서 고쳐 매어야 제대로 연주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마찬가지로 정치도 행하여지지 않는 경우가 심해지면 반드시 옛 것을 새롭게 변화하여 개혁하여야만 제대로 다스려질 수 있는 것입니다. 줄을 바꿔야 하는데도 바꾸지 않으면 훌륭한 연주가라 하더라도 조화로운 소리를 낼 수 없으며, 개혁하여야 하는데도 실행하지 않으면 대현(大賢-어진사람)이라 하더라도 잘 다스릴 수가 없는 것입니다”

 

동중서가 무제에게 올린 글에서 유래한 말로 '해현경장'은 주로 사회적, 정치적 개혁을 의미하는 고사성어로 사용된다. 조선시대 말기에 발생한 갑오경장(甲午更張 : 갑오개혁)의 명칭도 해현경장에서 유래된 것이다.

프로필 사진
성미연 기자

성미연 대표기자
010-5650-8567

많이 본 기사

더보기

BEST 영상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