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헤드뉴스 성미연 기자 | 경기도의회 교육행정위원회 이애형 위원장(국민의힘, 수원10)은 14일 경기도교육청 행정국·운영지원과·안전교육관에 대한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에서 행정국을 대상으로 학교 유휴공간 활용을 위한 명확한 기본계획 수립 및 지자체 연계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애형 위원장은 지난 9월 제정된 '경기도교육청 학교 유휴공간 활용 촉진 조례'를 언급하며, “조례에 따라 학교 유휴공간은 단순 ‘비어 있는 공간’이 아니라 정규 교육활동 시간에 사용되지 않거나, 장기적으로 활용 계획이 없는 교실·시설을 말한다”며 “유휴공간의 정의에 대한 해석으로 인해 일선 학교현장에서 혼란이 야기될 수 있는 바, 교육청 차원 유휴공간 활용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조속히 마련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또한, 이 위원장은 “향후 학교 유휴공간을 어떻게 활용하느냐는 학교 개방 정책과도 연결된다”고 강조하며 “학교 개방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라도 유휴공간 활용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 및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할 것”을 주문했다.
이어 “이미 수원시의 경우 학교 내 유휴교실을 활용해 청소년과 학부모가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거점형 교육·문화 복합 공간을 운영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며 “도내 31개 시·군에서 학교 유휴공간을 활용하는 자체 사업들을 교육청에서 면밀히 검토한 후 접목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측면에서 유휴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며 지자체 사업과의 연계를 제안했다.
끝으로, “학교 유휴공간 활용은 단순한 공간 재배치가 아니라, 학교와 지역이 함께 살아나는 통합의 정책”이라며 “교육공동체가 안전하게 머물고, 지역사회가 함께 숨 쉬는 지속가능한 학교공간 모델을 만들어갈 수 있도록 경기도교육청 행정국이 선도적 역할을 해주기 바란다”며 질의를 마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