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헤드뉴스 임채헌 기자 |
立:설 립 , 象:코끼리 상 , 盡:다할 진 , 意:뜻 의
형상을 세워서 나타내려는 뜻을 전달한다는 뜻이다.
중국 송나라의 황제 휘종은 훌륭한 화가였고 그림을 아주 사랑했다. 그래서 자주 궁중에 화가들을 초대하여 그림 대회를 열었다. 그때마다 황제는 직접 그림제목을 정했는데, 보통은 유명한 詩의 한 구절을 따오거나 자신이 제목을 내걸었다.
한 번은, '꽃을 밟고 돌아가니 말발굽에서 향기가 난다.'였다. 그러니까 황제는 화가들에게 말발굽에 묻은 꽃향기를 그림으로 그려보라고 한 것이다. 모두들 그림에 손을 못대고 쩔쩔매고 있을 때 한 젊은이가 그림을 제출하였다. 사람들의 눈이 그림위로 쏠렸다. 말 한 마리가 달려가는데 그 꽁무니를 나비떼가 뒤쫓아가는 그림이었다. 젊은 화가는 말을 따라가는 나비 떼로 꽃향기를 표현했다. 나비 떼라는 형상으로 말발굽에 묻은 향기를 충분히 전달하였던 것이다.
어느 날 황제 휘종은, '어지러운 산이 옛 절을 감추었다.'는 화제(畵題)를 내놓았다. 이번에도 화가들은 고민에 빠졌다. 어떻게 그려야 할까? 얼마후 한 화가가 그림을 들고 나왔다. 그런데 그의 그림은 다른 화가의 것과 달랐다. 우선 화면 어디에도 절을 그리지 않았다. 대신 깊은 산속 작은 오솔길엔 스님 한 분이 물동이를 이고 서 올라가는 모습을 그려 놓았을 뿐이었다.
황제의 얼굴에 흡족한 표정이 드러났다. " 스님이 물을 길으러 나온 것을 보니, 근처에 절이 있는 것을 알 수 있구나. 그런데 산이 너무 깊어서 절이 보이지 않는 게로구나. 그가 비록 절을 그리지 않았지만 물을 길으러 나온 스님만 보고도 가까운 곳에 절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지 않겠느냐?" 이 화가는 절을 그리지 않으면서 절을 그리는 방법을 알았다.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는 아니다. 뛰어난 화가는 그리지 않고서도 다 그린다.
정말 소중한 것은 눈에 잘 보이지 않는다.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라는 의미이다.
영상출처:북올림